서버관리자에서 IIS 설치하기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 서버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그닥 상관없는 내용이 될 듯합니다.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서버로 넘어왔을 때 가장 먼저 설치를 해야하는 것은 바로 웹서버 였습니다. 제가 사용사던 웹서버인 IIS를 윈도우 서버에도 설치하고자 서버 관리자를 통해 IIS를 설치하는 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윈도우 8.1을 사용할 때 IIS 설치에 관한 글은 다음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관련글 : 개인서버 만들기 네번째 - 윈도우 8 / 윈도우 8.1 에 IIS를 입히다. 윈도우 클라이언트 버전과는 다른게 서버관리자에서 설치한다는 것 빼고는 설치할 구성요소는 똑같습니다. 다만, 어떤 요소를 추가할지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 관리자에서 기..
서버 버전 Internet Explorer 최적화 윈도우 서버를 처음 사용하면 생각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바로 크롬을 설치하여 크롬을 주로 사용하지만, 서버를 이용하는데 부가적인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브라우징을 하기에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익스플로러의 보안과 관련해서 제약사항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일반적인 브라우징을 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히 있고 많이들 불편해 하시더군요. 심지어 저는 크롬을 설치하기 위해 크롬 다움로드 페이지까지 가는데에도 안전 경고를 수차례 받았습니다. 어떤 부분이 그렇게 불편하게 만드는 지 예를들면,한 웹 페이지 내에서 다른 도메인에 링크된 이미지나 파일 또는 하이퍼링크가 있는 경..
Windows Server2012 R2를Windows 8.1 처럼 지난 시간에는 그래픽 적인 부분들을 클라이언트 버전처럼 변환하기 위해 설정법을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윈도우 서버에서 일반적인 컴퓨터로 사용하고자 할 때 불편한 부분 몇 가지를 해소하고자, 정책설정을 통해 추가로 설정들을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글 Windows Server 2012 R2를 Windows 8.1 처럼 이번에 변경할 정책은 세가지 정도 입니다. 세가지를 고른 기준은 윈도우 클라이언트 버전과 비교를 하고 차이가 있던 부분만을 찾아보니 세가지 정도 였습니다. 기본적으로 정책설정을 들어가는 방법은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볼러온후 gpedit.msc 를 입력합니다. 물론 로컬 보안 정책(secpol.msc)으로 들어가도..
윈도우 서버를 윈도우 8.1처럼 사용하기 윈도우 서버를 이용하여 본격적으로 이용을 하기 전에 먼저 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단순히 서버로 이용만 할 것이면, 그닥 필요없는 기능이긴 한데 기본적으로 이 서버버전을 노트북에 설치하였고, 노트북에 설치한 이상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편의 기능은 무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만약, 나 이외에 다른 사람이 노트북이 쓸일이 있어서 부팅을 하면 아무것도 깔리지 않은 밋밋한 화면과 보안상 초기 설정으로 걸려있는 제약 사항들이 상당히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니, 더 솔직하게 말하면 못쓸지도 모릅니다. 이번 시간에는 윈도우 서버를 윈도우 클라이언트 버전 처럼 꾸며내는 과정입니다. 물론 설정해야 할게 산더미 처럼 많이 있지만, 이번 시간에는 외형적인 ..
서버 관리자에 대해 알아보기 윈도우 계열 OS 중에 제가 생각하는 가장 취상위급 OS는 단연 서버 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윈도우 8.1과 같은 클라이언트 버전은 일반적인 용도(업무용 또는 개인용)로는 충분히 사용 가능하나 조금 더 확장 시켜서 사용하기에는 약간의 제약 사항이 있습니다. 가령 예를 들면 웹서버나 공유폴더 이용시에 제한을 두기 때문에 컴퓨터, 특히 윈도우를 잘 다룬다면 오히려 서버버전을 쓰는 것이 더 적합해 보입니다. 클라이언트 버전의 경우 처음 설치하고 나면 바로 사용하기 좋게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특히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그래픽적 요소가 상당히 강조되어 화려합니다.반면, 윈도우 서버는 첫 인상은 굉장히 초라하고 설치되어있는 서비스도 없습니다. 필요한 기능들을 모두 커스텀으로..
세가지 다른 방법으로 멀티 부팅 설정하기 얼마전 서버버전을 시작하겠다고 해서 요 며칠간은 필요한 설정들을 확인하고 맞춰보느라 조금 시간이 걸렸네요. 일단, 서버로 이용을 하던 노트북에 서버 버전을 설치하였는데 기존에 있던 것들을 포맷해버리고 새로 쓰자니 기존에 있던 자료들 및 백업에 대한 귀찮음이 조금 아쉽기도 하고 윈도우를 윈도우 서버로 업데이트 설치를 하자니 제가 가지고 있는 노트북과 서버 버전의 그래픽카드가 서로 맞지 않아 다시 클라이언트 버전을 설치했던 기억이 나기도 하고 해서 혹시나 싶은 마음에 다른 파티션에 새 OS를 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다행이 맨 처음 서버를 구축할 당시 서버전용 공간으로 쓸려고 파티션을 나눠놓았는데, 그 파티션에 윈도우 서버를 설치하게 되었네요. 각기 다른 파티션에 서로..
서버에 Windows Server OS 설치계획 현재 개인용 서버로 이용하기 위해 Windows Client 버전을 이용해 서버를 운영해왔습니다. 물론 이렇게 사용하고 있는 목적이나 취지가 원래는 개인 컴퓨터로 사용을 하면서 동시에 서버 기능도 이용하자 라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습니다. 관련 글 : 개인 서버 만들기 두번째 - OS선택 하기 현재까지 아무런 무리 없이 사용하고 있고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용도라면 이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규모 집단이나 소규모 업체에 서버를 구축한적이 있는데 그 때 발생하였던 문제점이 서버버전 OS로만 이용을 해야 하는 꽤나 치명적인 클라이언트 버전의 윈도우의 문제점이었습니다. (하단에 설명 해놓았습니다.) 개인적인..